관리 메뉴

Gyejoong's Information

[독학사 1단계 한국사]1. 원시사회와 고조선 본문

etc

[독학사 1단계 한국사]1. 원시사회와 고조선

연계중 2017. 2. 28. 06:39
반응형

1. 원시 사회의 전개



구석기시대


전기 유적지 : 상원 검은모루 동굴, 연천 전곡리 유적(아슐리안 계통의 주먹도끼 출토)

중기 유적지 : 웅기 굴포리, 양구 상무룡리 유적

후기 유적지 : 공주 석장리, 단양 수양개 유적

구석기시대의 유물 : 뗀석기(주먹도끼, 찍개, 긁개, 밀개, 새기개)


경제생활 

 사냥·어로·채집 생활

 생활도구 : 주먹도끼, 찍개, 긁개

주거생활

 동굴, 바위 그늘, 강가에 막집 → 이동생활

사회생활

 무리 생활, 평등 사회

예술생활

 유물 : 석회암이나 동물의 뼈 또는 뿔 등을 이용하여 조각품을 만들었음

 유적 : 충남 공주 석장리, 충북 단양 수양개




신석기시대


     유물

       - 간석기 : 돌괭이, 돌삽

       - 토기 사용 : 빗살무늬 토기

     유적지 : 서울 암사동, 부산 동삼동, 강원도 양양 오산리, 제주도 고산리 유적 -> 강가나 바닷가에 주로 분포


경제생활 

 농경과 목축의 시작(신석기 혁명)

 사냥과 어로

 의복 생활 : 가락바퀴

주거생활

 집터는 대개 움집자리로, 바닥은 원형이나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사회생활

 부족사회, 씨족 중심의 평등사회, 배타적 생활구역의 설정, 모계 사회 

예술생활

 조개 껍데기 가면, 조가비 또는 짐승의 뼈나 이빨로 만든 치레걸이

신앙생활

 애니미즘 : 농사에 큰 영향을 끼치는 자연현상이나 자연물에도 정령이 있다고 믿는 신앙

 샤머니즘 : 영혼이나 하늘을 인간과 연결시켜주는 존재인 무당과 그 주술을 믿는 신앙

 영혼숭배와 조상숭배

 토테미즘 : 자기부족의 기원을 특정한 동식물과 연결시켜 그것을 숭배



청동기·철기 시대


청동기 사용의 시작 : B.C 2000년경 ~ B.C 1500년경

청동기 시대의 유적지 : 중국의 요령성, 길림성 지방을 포함하는 만주지역과 한반도에 걸쳐 넓게 분포

청동기 시대의 유물

- 석기 : 반달돌칼(추수용), 바퀴날 도끼, 홈자귀 등

- 청동기 :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화살촉 등

- 토기 : 미송리식 토기, 민무늬 토기, 붉은 간토기 등


경제생활 

 1. 간석기의 다양화

 2. 벼농사의 시작과 사육의 증대

주거생활

 움집의 형태 :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움집은 점차 지상가옥으로 바뀌어 감 

 움집의 구조

   1. 움집 중앙에 있던 화덕은 한쪽 벽으로 옮겨지고, 저장구덩도 따로 설치

   2. 창고와 같은 독립된 저장 시설을 집 밖에 따로 만들기도 하였으며 움집을 세우는데에

   주춧돌을 이용하기도 함

 집터의 규모

   1. 농경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로 정착생활의 규모가 점차 확대됨

   2. 주거용 외에 창고, 공동 작업장, 집회소 , 공공의식 장소 등도 만들었음

사회생활

 사유재산 제도의 성립 : 빈부의 격차와 권력, 계급의 분화

 분업과 부계 사회의 형성

 족장(군장)의 등장

 선민사상의 출현(부족의 정복 활동)

 고인돌

예술생활

 토우 : 장식 용도 외에도 풍요로운 생산 기원 -> 주술적 의미

 청동기 시대의 바위그림 : 울주 반구대 바위그림, 고령 양전동 바위그림


철기 사용의 시작 : B.C 5세기경 보급시작, 청동기와 함께 사용 -> 기원전 1세기경 널리 보급

철기 사용의 결과 : 철제 농기구(농업 생산량·인구 증가), 철제 무기(잦은 전쟁 발생)

청동기의 의식용 도구화

청동기의 독자적 발전

  1. 기원전 4세기경부터는 세형 동검(한국식 동검)과 잔무늬 거울 등이 출토되어 한반도의 독특한 청동기 문화를      보여줌

  2. 거푸집 : 청동기를 만들던 틀로 우리나라에서 직접 청동기를 제작

무덤 : 널무덤, 독무덤

중국과의 교류

  1. 중국의 화폐 사용 : 명도전, 반량전, 오수전을 통하여 중국과 활발하게 교류

  2. 붓(한자)의 사용 : 경남 창원 다호리 유적, 다호리 붓




2. 고조선과 단군신화


단군신화와 고조선의 성립


1. 단군신화


  (1) 단군신화의 의미

ㄱ. 배경 : 우리 민족의 시조 신화로 청동기 시대 농경사회를 배경으로 함

ㄴ. 단군신화의 수록 문헌: 단군의 건국에 관한 기록은 삼국유사, 제왕운기, 세족실록지리지, 응제시주, 동국여지승람, 동국통감 등에 나타나고 있음

  (2) 단군신화를 통해 알 수 있는 당시 사회 모습

ㄱ. 환웅 부족이 태백산의 신시를 중심으로 세력 형성 -> 구릉지대 거주

ㄴ. 환인·환웅 -> 선민사상

ㄷ. 풍백·우사·운사 -> 농경사회

ㄹ. 계급의 분화와 지배 계층 등장 ->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사회 질서 성립

ㅁ.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 -> '홍익인간'의 통치 이념, 인본주의

ㅂ. 부족의 연합과정을 통한 고조선 건국, 토테미즘(곰·호랑이) 존재

ㅅ. 단군왕검 : 단군(제사장) + 왕검(정치적 군장) -> 제정일치 사회의 지배자


2.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1) 고조선의 건국 : 족장 사회에서 가장 먼저 국가로 발전, 단국왕검이 건국

  (2) 고조선의 영역 : 요령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하여 점차 인접한 족장(군장) 사회를 통합하면서 한반도까지 발   전하였는데, 이와 같은 사실은 미송리식 토기, 비파형 동검고인돌(탁자식)의 출토 분포로써 알 수 있음

  (3) 고조선의 발전(기원전 3세기경)

ㄱ. 요령 지방과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이룩하면서 발전

ㄴ. 부왕, 준왕 같은 강력한 왕이 등장하여 왕위를 세습하였으며, 그 밑에 상, 대부 장군등의 관직도 두었음, 요서 지방을 경계로 하여 연나라와 대립할 만큼 강성하였음


위만 조선


1. 위만 조선의 성립(기원전 194)


(1) 유이민의 이주 : 중국이 전국 시대 이후로 혼란에 휩싸이면서 유이민이 대거 고조선으로 넘어 왔는데 고조선은 그들을 받아들여 서쪽 지역에 살게 하였음

(2) 위만 왕조의 성립 : 위만은 수도인 왕검성에 쳐들어가 준왕을 몰아내고 스스로 왕이되었음(기원전 194)


2. 위만 조선의 발전과 멸망


(1) 발전 : 철기 문화의 본격적 수용 -> 농업·무역 발달 -> 중계무역 이득 -> 한과 대립

(2) 멸망 : 한 무제 침략 -> 왕검성이 함락되어 멸망(기원전 108) -> 한 군현의 설치



8조법금


1.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죽인다. -> 인간의 생명 존중, 노동력 중시

2. 남에게 상처를 입힌 자는 곡식으로 갚는다. -> 농경 사회, 사유 재산제 인정

3. 도둑질을 한 자는 노비로 삼는다. 용서 받고자 하는 자는 한 사람마다 50만 전을 내야한다.

-> 형벌·노비의 발생, 화폐의 사용, 계급 차별이 엄격


여러 나라의 성장


구 분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위 치 

 쑹화강 유역 

 졸본 지방 

 함경도 해안 

 강원 북부 해안 

 한강 이남 

정 치

 5부족 연맹체 

 5부족 연맹체

 군장 국가

 연맹 왕국

군 장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대가 

 삼로·읍군

 신지·견지, 읍차·  부례

경 제

 농경 ·  목축

 말, 주옥, 모피 

 약탈

 토지 척박 -> 양식 부족

 농경, 어업

 어물, 소금 

농경, 방직

단궁, 과하마 

 벼농사(저수지)

 철(변한) -> 낙랑과 왜에 수출

제천행사

 영고(12월)

 동맹(10월) 

 

 무천(10월)

 계절제(5월·`10월) 

풍 습

 형사취수,순장,1책 12점

서옥제

민며느리제, 가족공동 무덤 

족외혼, 책화 

소도, 두레 조직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