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Gyejoong's Information

[독학사 1단계 한국사]2. 삼국시대 본문

etc

[독학사 1단계 한국사]2. 삼국시대

연계중 2017. 2. 28. 08:24
반응형


1. 삼국의 성립과 발전


<각 나라의 발전과정>


고구려


2세기 초

태조왕

- 정복활동 (옥저, 낙랑)

- 계루부 고씨의 왕위 세습

- 중앙 집권 국가 형성

4세기 초

미천왕

- 낙랑군 축출


4세기 중반

소수림왕

- 율령 반포

- 불교 수용

- 태학 설립

5세기 초

광개토 대왕

- 요동 반도 정복

- 신라 도와 왜구 격퇴

- 한강 이북 확보

5세기 말

장수왕

- 평양 천도

- 남진 정책


7세기 말

살수대첩(수) - 안시성 싸움(당) - 668 멸망



백제


3세기 중반

고이왕

- 영토확장(한강 유역 대부분)

- 관등 정비(6좌평), 공복제정

4세기 중반

근초고왕

- 왕위 세습

- 마한 정복

- 고구려 공격

- 요서 · 산둥 · 규슈 진출

5세기 초

침류왕

- 불교 수용

5세기 말

문주왕

-웅진 천도

6세기 중반

무령왕

- 22담로제

6세기 말

성왕

- 사비천도(국호 남부여)

- 백제중흥

- 남조와 교류


7세기 말 의자왕 - 660 멸망


신라


4세기 중반

내물왕

- 중앙집권 국가 형성

- 김씨 왕위 세습

- 마립간 칭호 사용

5세기 초

눌지왕

- 불교 수용

6세기 초

지증왕

- 국호 신라

- 수리 사업 · 우경

- 중국식 왕호 사용

6세기 중반

법흥왕

- 금관가야 정복

- 불교 공인

- 율령 반포

6세기 말

진흥왕

- 대가야 정복

- 중국과 직접 교역

- 한강유역 확보

7세기 중반

무열왕

- 친당 정책


7세기 말 문무왕 - 676 삼국통일



가야


전기 가야 연맹

금관가야(김해) 중심의 가야 연맹 성립

중앙 집권 국가로 성장하지 못한 이유 : 소국으로 분열, 백제와 신라의 압력

철 생산 풍부, 낙랑과 규슈를 연결하는 중계 무역 발달

4세기말 ~ 5세기 초 : 신라를 후원하는 고구려군의 공격으로 중심 세력 해체


후기 가야 연맹

대가야(고령) 중심의 후기 가야 연맹 성립

6세기 초 : 신라와 결혼 동맹 체결 -> 국제적 고립 탈피 목적

신라 법흥왕(금관가야) 병합, 신라 진흥왕(대가야) 병합



2. 삼국의 사회와 통치 제도



1. 삼국의 지배 체제


(1) 중앙 정치 조직


구분 

고구려 

백제 

신라 

왕 족 

 소노부 -> 계루부

 절노부(왕비족)

 부여씨(왕족)

 해씨, 진씨(왕비족)

 박,석, 김씨의 연합

 내물왕 이후 김씨 독점

 중앙관제

 관직(내평, 외평 등)

 6좌평 제도(고이왕)

 22부(성왕) 

 병부 설치(법흥왕)

 10부로 점차 확대

 귀족회의

및 수상

 제가 회의

 대대로

 정사암 회의

 상좌평(내신좌평) 

 화백회의

 상대등

 관 등

 10여 관등(형, 사자) 

16관등(솔, 덕) 

 17관등(찬, 나마) 



(2) 삼국의 지방 통치 제도


구분 

고구려 

백제 

신라 

중앙 

 수도 - 5부

 수도 - 5부 

 수도 - 6부 

지방 

 5부(욕살) - 성(처려근지) 

 5방(방령) - 군(군장)

 5주(군주) - 군(태수),현(현령) 

특수행정구역 

 3경(국내성,평양성,한성) 

 22담로(왕족의 파견) 

 2소경(동원경, 중원경) 


(3) 군사 제도


구분 

고구려 

백제 

신라 

군사 조직 

 성을 단위로 편성

 평시 : 성주가 지휘

 전시 : 대보달, 말객을 보내  지휘 

 700 ~ 1,200명

 (방령이 지휘) 

 중앙(사자대, 시위부)

 지방(6정)

 서당 

주의 사항 

군대가 지방에 상주하여 일반 행정을 보는 일원적인 지휘 체계 



2. 삼국의 사회 · 경제


 고구려 

 지배층 : 왕족 고씨와 5부 출신의 귀족

 피지배 계층 : 평민(대부분 자영 농민), 천민과 노비

 사회 풍습 : 형사 취수제와 서옥제

 경제 : 진대법(농민 구제책) - 고국천왕

 백제

 지배층 : 왕족 부여씨와 8성의 귀족

 사회 풍습 : 상무적 기풍(말타기와 활쏘기 등을 좋아함)

 신라

 골품 제도

  - 기원 : 부족장들을 그 세력의 크기에 따라 중앙 귀족으로 편입하는 과정에서 발생

  - 특징 : 골품에 따라 개인의 일상생활, 사회 활동과 정치 활동의 범위까지 엄격히 제한

 화랑도

 - 구성 : 화랑(귀족)과 낭도(귀족, 평민) -> 계층 간의 대립과 갈등을 조절, 완화

 - 확대 : 진흥왕 때 국가 차원에서 조직 확대, 원광의 세속 5계(청소년의 행동 규범 제시)

경제 : 경주에 동시가 열리고 동시전(시장 감독 기관)이 설치됨, 우경(지증왕)



3. 삼국의 문화


1. 삼국의 학문과 종교


교육 기관 

 고구려 : 태학(수도), 경당(지방)

 백제 : 5경 박사, 역박사, 의박사

 신라 : 임신서기석(유교 경전 교육) 

역사서의 편찬

 고구려 : 유기 100권 - > 신집 5권

 백제 : 서기(근초고왕, 고흥)

 신라 : 국사(진흥왕, 거칠부) 

도교의 수용

 귀족 사회를 중심으로 전래

 산천 숭배나 신선 사상과 결합 



2. 삼국의 미술


 (1) 삼국의 고분과 벽화


고구려 

 돌무지무덤(석총), 굴식 돌방무덤(토총)

백제

 한성 시대 : 계단식 돌무지무덤(고구려의 영항- 서울 석촌동 고분) -> 백제 건국 이야기 뒷  받침

 웅진 시대 : 굴식 돌방무덤, 벽돌무덤(중국 남조의 영향 - 무령왕릉)

 사비 시대 : 굴식 돌방무덤(규모는 작지만 세련됨)

신라

 고분 양식: 거대한 돌무지 덧널무덤(천마총) -> 삼국 통일 직전 굴식 돌방무덤 등장

 천마총 : 돌무지 덧널무덤으로 장니에 그려진 천마도 등이 출토되었다.

고분 벽화

 고구려 : 사냥그림,사신도

 백제 : 부드럽고 온화한 기풍의 사신도 


 (2) 건축과 탑


고구려 

안학궁(장수왕) : 남진 정책의 기상이 엿보임

탑 : 주로 목탑, 현존하는 것이 없음 

백제

미륵사 : 무왕이 추진한 백제의 중흥 반영(7세기)

미륵사지 석탑(목탑 양식) -> 정림사지 5층 석탑(백제의 대표적 석탑) 

신라

황룡사(6세기) : 진흥왕의 팽창 의지 반영, 황룡사 9층 목탑(7세기)

분황사탑(벽돌 모양의 모전석탑) 



 (3) 불상


고구려(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백제 (서산 마애 삼존불)

신라(경주 배리 석불입상)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3.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의 문화


고구려 

담징(종이와 먹의 제조법, 호류사 금당 벽화), 혜자(쇼토쿠 태자의 스승), 혜관(불교 전파), 다카마쓰 고분 벽화 

백제

백제는 일본과 가장 밀접하여 삼국 문화의 일본 전수에 가장 크게 기여

아직기(한자), 왕인(천자문, 논어), 노리사치계(불상, 불경) -> 고류 사의 목조 미륵 보살 반가사유상, 호류 사의 백제 관음상 제작, 백제 가람 양식 

신라

배 만드는 기술과 제방 쌓는 기술 전수 -> 한인의 연못 

가야

철 수출, 제철 기술 전파, 토기 문화 전파(스에키 토기)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