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암호화폐
- 메이플스토리 M 사전예약
- 리틀엔디언
- 배열 정렬
- abex crack me 2번 문제풀이
- 마인크래프트
- 덧셈
- UDP daytime
- abex crack me 5번문제
- 안드로이드 백도어
- 리버싱
- abex crack me 1번
- 1.9.2
- react native
- 프로그래밍 언어론
- 알고리즘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 C언어
- 프론트엔드 개발자
- 빅엔디언
- Reverse Me
- 배열
- 구조체
- 구조체 함수
- 배열 탐색
- 오버워치
- 레나 리버싱
- sa 계정 비밀번호 변경
- 재밌는 모바일게임
- c언어 알고리즘
- Today
- Total
Gyejoong's Information
[독학사 1단계 한국사]2. 삼국시대 본문
1. 삼국의 성립과 발전
<각 나라의 발전과정>
고구려
2세기 초
태조왕
- 정복활동 (옥저, 낙랑)
- 계루부 고씨의 왕위 세습
- 중앙 집권 국가 형성
4세기 초
미천왕
- 낙랑군 축출
4세기 중반
소수림왕
- 율령 반포
- 불교 수용
- 태학 설립
5세기 초
광개토 대왕
- 요동 반도 정복
- 신라 도와 왜구 격퇴
- 한강 이북 확보
5세기 말
장수왕
- 평양 천도
- 남진 정책
7세기 말
살수대첩(수) - 안시성 싸움(당) - 668 멸망
백제
3세기 중반
고이왕
- 영토확장(한강 유역 대부분)
- 관등 정비(6좌평), 공복제정
4세기 중반
근초고왕
- 왕위 세습
- 마한 정복
- 고구려 공격
- 요서 · 산둥 · 규슈 진출
5세기 초
침류왕
- 불교 수용
5세기 말
문주왕
-웅진 천도
6세기 중반
무령왕
- 22담로제
6세기 말
성왕
- 사비천도(국호 남부여)
- 백제중흥
- 남조와 교류
7세기 말 의자왕 - 660 멸망
신라
4세기 중반
내물왕
- 중앙집권 국가 형성
- 김씨 왕위 세습
- 마립간 칭호 사용
5세기 초
눌지왕
- 불교 수용
6세기 초
지증왕
- 국호 신라
- 수리 사업 · 우경
- 중국식 왕호 사용
6세기 중반
법흥왕
- 금관가야 정복
- 불교 공인
- 율령 반포
6세기 말
진흥왕
- 대가야 정복
- 중국과 직접 교역
- 한강유역 확보
7세기 중반
무열왕
- 친당 정책
7세기 말 문무왕 - 676 삼국통일
가야
전기 가야 연맹
금관가야(김해) 중심의 가야 연맹 성립
중앙 집권 국가로 성장하지 못한 이유 : 소국으로 분열, 백제와 신라의 압력
철 생산 풍부, 낙랑과 규슈를 연결하는 중계 무역 발달
4세기말 ~ 5세기 초 : 신라를 후원하는 고구려군의 공격으로 중심 세력 해체
후기 가야 연맹
대가야(고령) 중심의 후기 가야 연맹 성립
6세기 초 : 신라와 결혼 동맹 체결 -> 국제적 고립 탈피 목적
신라 법흥왕(금관가야) 병합, 신라 진흥왕(대가야) 병합
2. 삼국의 사회와 통치 제도
1. 삼국의 지배 체제
(1) 중앙 정치 조직
구분 |
고구려 |
백제 |
신라 |
왕 족 |
소노부 -> 계루부 절노부(왕비족) |
부여씨(왕족) 해씨, 진씨(왕비족) |
박,석, 김씨의 연합 내물왕 이후 김씨 독점 |
중앙관제 |
관직(내평, 외평 등) |
6좌평 제도(고이왕) 22부(성왕) |
병부 설치(법흥왕) 10부로 점차 확대 |
귀족회의 및 수상 |
제가 회의 대대로 |
정사암 회의 상좌평(내신좌평) |
화백회의 상대등 |
관 등 |
10여 관등(형, 사자) |
16관등(솔, 덕) |
17관등(찬, 나마) |
(2) 삼국의 지방 통치 제도
구분 |
고구려 |
백제 |
신라 |
중앙 |
수도 - 5부 |
수도 - 5부 |
수도 - 6부 |
지방 |
5부(욕살) - 성(처려근지) |
5방(방령) - 군(군장) |
5주(군주) - 군(태수),현(현령) |
특수행정구역 |
3경(국내성,평양성,한성) |
22담로(왕족의 파견) |
2소경(동원경, 중원경) |
(3) 군사 제도
구분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군사 조직 |
성을 단위로 편성 평시 : 성주가 지휘 전시 : 대보달, 말객을 보내 지휘 |
700 ~ 1,200명 (방령이 지휘) |
중앙(사자대, 시위부) 지방(6정) 서당 |
주의 사항 |
군대가 지방에 상주하여 일반 행정을 보는 일원적인 지휘 체계 |
2. 삼국의 사회 · 경제
고구려 |
지배층 : 왕족 고씨와 5부 출신의 귀족 피지배 계층 : 평민(대부분 자영 농민), 천민과 노비 사회 풍습 : 형사 취수제와 서옥제 경제 : 진대법(농민 구제책) - 고국천왕 |
백제 |
지배층 : 왕족 부여씨와 8성의 귀족 사회 풍습 : 상무적 기풍(말타기와 활쏘기 등을 좋아함) |
신라 |
골품 제도 - 기원 : 부족장들을 그 세력의 크기에 따라 중앙 귀족으로 편입하는 과정에서 발생 - 특징 : 골품에 따라 개인의 일상생활, 사회 활동과 정치 활동의 범위까지 엄격히 제한 화랑도 - 구성 : 화랑(귀족)과 낭도(귀족, 평민) -> 계층 간의 대립과 갈등을 조절, 완화 - 확대 : 진흥왕 때 국가 차원에서 조직 확대, 원광의 세속 5계(청소년의 행동 규범 제시) 경제 : 경주에 동시가 열리고 동시전(시장 감독 기관)이 설치됨, 우경(지증왕) |
3. 삼국의 문화
1. 삼국의 학문과 종교
교육 기관 |
고구려 : 태학(수도), 경당(지방) 백제 : 5경 박사, 역박사, 의박사 신라 : 임신서기석(유교 경전 교육) |
역사서의 편찬 |
고구려 : 유기 100권 - > 신집 5권 백제 : 서기(근초고왕, 고흥) 신라 : 국사(진흥왕, 거칠부) |
도교의 수용 |
귀족 사회를 중심으로 전래 산천 숭배나 신선 사상과 결합 |
2. 삼국의 미술
(1) 삼국의 고분과 벽화
고구려 |
돌무지무덤(석총), 굴식 돌방무덤(토총) |
백제 |
한성 시대 : 계단식 돌무지무덤(고구려의 영항- 서울 석촌동 고분) -> 백제 건국 이야기 뒷 받침 웅진 시대 : 굴식 돌방무덤, 벽돌무덤(중국 남조의 영향 - 무령왕릉) 사비 시대 : 굴식 돌방무덤(규모는 작지만 세련됨) |
신라 |
고분 양식: 거대한 돌무지 덧널무덤(천마총) -> 삼국 통일 직전 굴식 돌방무덤 등장 천마총 : 돌무지 덧널무덤으로 장니에 그려진 천마도 등이 출토되었다. |
고분 벽화 |
고구려 : 사냥그림,사신도 백제 : 부드럽고 온화한 기풍의 사신도 |
(2) 건축과 탑
고구려 |
안학궁(장수왕) : 남진 정책의 기상이 엿보임 탑 : 주로 목탑, 현존하는 것이 없음 |
백제 |
미륵사 : 무왕이 추진한 백제의 중흥 반영(7세기) 미륵사지 석탑(목탑 양식) -> 정림사지 5층 석탑(백제의 대표적 석탑) |
신라 |
황룡사(6세기) : 진흥왕의 팽창 의지 반영, 황룡사 9층 목탑(7세기) 분황사탑(벽돌 모양의 모전석탑) |
(3) 불상
고구려(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백제 (서산 마애 삼존불)
신라(경주 배리 석불입상)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3.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의 문화
고구려 |
담징(종이와 먹의 제조법, 호류사 금당 벽화), 혜자(쇼토쿠 태자의 스승), 혜관(불교 전파), 다카마쓰 고분 벽화 |
백제 |
백제는 일본과 가장 밀접하여 삼국 문화의 일본 전수에 가장 크게 기여 아직기(한자), 왕인(천자문, 논어), 노리사치계(불상, 불경) -> 고류 사의 목조 미륵 보살 반가사유상, 호류 사의 백제 관음상 제작, 백제 가람 양식 |
신라 |
배 만드는 기술과 제방 쌓는 기술 전수 -> 한인의 연못 |
가야 |
철 수출, 제철 기술 전파, 토기 문화 전파(스에키 토기)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학사 1단계 한국사]3. 통일신라와 발해 (0) | 2017.03.01 |
---|---|
[독학사 1단계 한국사]1. 원시사회와 고조선 (0) | 2017.02.28 |
[C언어로 해보는 알고리즘]10. 복소수 덧셈 구하기 (0) | 2016.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