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Gyejoong's Information

[독학사 1단계 한국사]3. 통일신라와 발해 본문

etc

[독학사 1단계 한국사]3. 통일신라와 발해

연계중 2017. 3. 1. 14:35
반응형

1. 신라의 삼국 통합과 발해의 건국


1. 신라의 삼국 통일


648 ~ 668 나 · 당 동맹 - 김춘추가 고구려 멸망 이후 대동각 이북의 땅을 당에 건너주기로 약속


660 백제 멸망 - 나 · 당 연합군의 공격 : 신라군의 황산벌 싸움 승리, 당군의 금강 하구 침입 - 사비성 함락

부흥 운동 : 복신 · 도침(주류성), 흑치상지(임존성) 등이 부흥 운동 전개 -> 지배층의 내분으로 분열


668 고구려 멸망 - 나 · 당 연합군의 공격 : 거듭된 전쟁으로 국력 소모(살수대첩(612),안시성싸움(645)), 연개소문 사후 지배층 분열 -> 평양성 함락

부흥 운동 : 고연무(오골성), 검모잠(한성), 안승(금마저) 등이 부흥 운동 전개 -> 지배층의 내분으로 분열


나 · 당 전쟁 - 웅진 도독부(백제), 안동 도호부(고구려), 계림 도독부(신라) 설치, 신라의 고구려 부흥 운동 후원, 백제 땅의 지배권 장악 -> 매소성 · 기벌포 전투 승리


676 삼국 통일 - 대동강 ~ 원산만 이남 지역 통일


무열왕 : 최초의 진골 출신 왕, 이후 무열왕의 직계 자손들이 왕위 세습

삼국 통일 과정에서 대당 외교에 성공, 김유신과 협력 -> 왕권 강화의 기반 마련

문무왕 : 삼국통일 완수(문무 대왕릉, 감은사)

신문왕 : 왕권 전제화(귀족 세력 숙청, 9주 5소경 체제 완비,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유학 사상 강조

국학 설립

만파식적 설화 - 정치적 안정


진성여왕 : 적고적의 난, 최치원(6두품) -> 시무10조, 애국지사



2. 발해의 건국과 발전


건국 -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규합해 건국(698), 소수의 고구려계 유민(지배층) + 다수의 말갈인 -> 신라와 함께 남북국의 형세 이룸


무왕 : 당과 대립하여 산둥 반도를 공격, 돌궐 · 일본과 연결하여 당 · 신라를 견제 (연호 - 인안)

문왕 : 상경 용천부로 수도 천도, 당과 친선 관계를 맺고, 신라와 상설 교통로(신라도)를 개설 (연호 - 대흥)

선왕 : 말갈족을 복속하고 요동까지 진출, '해동성국' 이라 불림


멸망 - 거란의 세력 확대, 귀족들의 권력 투쟁 심화 ->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926)



2. 통일 신라의 사회와 문화



1. 통치 체제의 정비


 중앙 정치 제도 

 왕의 직속 기관인 집사부 중심의 운영, 집사부 장관인 시중의 권한 강화

 국학 설치(신문왕),

 화백 회의 기능 축소, 화백 회의 의장인 상대등의 권한 약화

 사정부 설치(관리의 비리와 부정을 방지)

 유교식 왕명을 사용하여 유교 정치 이념 표방

 지방 행정

 9주(행정적 기능강화, 주 아래 군·현을 두어 지방관 파견) 5소경(군사·행정상의 요지)

 특수 행정구역 : 지역이 좁고 정식 현을 설치하기 어려운 곳은 향, 부곡으로 편제

 상수리 제도 : 지방 세력 견제

 군사 제도

 9서당(중앙군) : 민족 융합 목적으로 신라인, 백제인, 고구려인, 말갈인, 보덕국인으로 편성

 10정(지방군) : 지방 각 주에 1개의 정을 배치하고 국경인 한주에 2개의 정을 배치  


2. 통일 신라의 사회 · 경제


사회

 민족 통합 

노력

 백제 · 고구려 지배층에게 신라의 관등을 부여

 백제 · 고구려 유민을 9서당에 편성

전제 왕권의 강화

 통일 전쟁 과정에서 국왕의 역할 강화

 신문왕 때 일부 진골 귀족 숙청 

6두품의 

부각

 전제 왕권 보좌, 학문적 식견과 실무 능력 겸비

 신분적 한계로 고위적 진출에 한계 

경제

 토지 제도

 신문왕 때 녹읍 폐지, 식읍 제한, 관료전 지급 -> 왕권을 강화, 농민 경제 안정

 정전 지급 : 백성들에게 지급

 수취 제도

 조세 : 생산량의 1/10

 공납 : 촌락 단위로 공물(특산물)을 납부

 역 : 군역과 요역(16~60세의 남자)

 민정 문서

 목적 : 조세, 공물, 부역의 원활한 징수

 내용 : 토지의 크기, 인구 수(호구와 연령별로 파악), 소와 말의 수, 특산물 등을 파악

 작성 : 3년마다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조세, 공물, 부역을 징수 


3. 통일 신라의 문화


불교 사상 

 원효 : 불교 이해 기준 마련, 불교 종파 융합(일심 사상), 불교의 대중화(아미타 신앙)

 의상 : 화엄 사상 정립, 부석사 건립, 아미타 신앙과 함께 관음 신앙 전파

 혜초 : 인도 순례, 왕오천축국전 저술

학문 발달 

 국학 : 논어, 효경 등 유교 경전 교육 -> 충효 일치의 윤리 교육 강조

 독서삼품과 : 유교 경전의 이해 수준 시험 -> 학문과 유학 보급에 기여

 김대문 : 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 -> 주체적 문화 인식

 강수, 설총, 최치원(도당 유학생)

건축과 탑 

 불국사, 석굴암 : 불국토의 이상 반영 

 감은사지 3층 석탑, 불국사 3층 석탑, 다보탑

 신라 말기 : 진전사지 3층 석탑, 승탑과 탑비 유행(선종)

무덤 양식 

 화장 유행(불교 영향)

 굴식 돌방무덤(둘레돌, 12지 신상)

불상과 공예 

 석굴암(본존불, 보살상), 무열왕릉비 받침돌, 법주사 쌍사자 석등, 성덕대왕 신종의 비천상, 상  원사 종 

인쇄술 

 불국사 3층석탑(석가탑)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8세기 제작) -> 현존하는 세계 최고  의 목판 인쇄물



3. 발해의 사회와 문화



1. 발해의 통치 체제


(1) 중앙 정치 제도


3성 6부제 : 당의 제도를 수용하였으나 그 명칭과 운영은 발해의 독자성을 유지


 정당성(상서성)

 정당성(상서성)->

 좌사정

 충부(이부)

 선조성(문하성)

 인부(호부)

 중대성(중서성)

 의부(예부)

 중정대(어사대)

 우사정

 지부(병부) 

 문적원(비서성)

 예부(형부)

 주자감(국자감)

 신부(공부)



(2) 지방 행정 제도(5경 15부 62주)


5경 : 상경 용천부를 중심으로 5도의 교통망을 연결

촌락 : 토착 세력가에 의해서 다스려짐 -> 고구려 계통의 지배층이 말갈의 전통적인 사회 조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두 민족 사이의 조화를 꾀한 것 


(3) 군사 조직


중앙군으로 10위를 두어 왕궁과 수도의 경비를 맡겼고, 지방 행정 조직에 따라 지방군을 편성하여 지방관이 지휘하게 함


2. 발해의 사회와 경제, 문화


(1) 발해의 사회


지배층 - 왕족(대씨), 귀족(고씨) 등 고구려계가 대부분

당의 제도와 문화 수용, 당에 유학하여 빈공과 응시

피지배층 - 다수의 말갈인, 고구려와 말갈 사회의 전통적인 내부 조직 보존


(2) 발해의 경제


산 업 

 농업 : 밭농사 중심(일부에서 벼농사), 목축(솔빈부)과 수렵 발달

 상업 : 수도인 상경 용천부 등 도시와 교통 요충지에서 발달

수취 체제

 조세(조, 콩, 보리), 공물(베, 명주, 가죽 등 특산물), 부역 동원

무 역

 당 : 산둥 반도의 덩저우에서 발해관 설치, 귀족의 수요품 수입

 일본 : 외교 관계 중시

 신라 : 신라도(동경 ~ 남경을 거쳐 동해안에 이르는 교통로)



(3) 발해의 문화


고구려를 계승하면서 당 문화를 수용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 시킴


고구려 양식 

 정혜 공주 무덤 양식(굴식 돌방무덤으로 모줄임 천장 구조, 돌사자상), 온돌, 치미, 벽돌, 석등,  불상 양식 등

당 양식

 정효 공주 무덤 양식(벽돌무덤, 벽화 안의 옷 모양), 3성 6부제, 수도 상경성의 구조(당의 장안성  을 본떠 계획 - 외성, 주작대로), 복식 제도 등

유학

 발해의 지식인은 당에 유학하여 당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과거 시험인 빈공과에 응시  하고, 때로는 신라인과 수석을 다투기도 함

불교

 상경 및 5경 부근에 40여 개의 절터와 불탑 및 석등 발견



4. 신라 사회의 동요


1. 신라 말의 정치 변동



(1) 신라 말의 사회 혼란


진골들의 왕위 쟁탈전 : 혜공왕의 피살(무열왕계 왕위 세습 단절) -> 150년 동안 20명의 왕 교체

지방 반란 : 지방에 대한 통제력 약화, 지방세력들도 왕위 쟁탈전에 가담(김헌창의 난, 장보고의 난)


(2) 새로운 세력의 성장


호족세력 성장 : 중앙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성주, 장군을 자처하면서 반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 -> 지방의 행정권과 군사권 장악

6두품 세력, 선종 승려 : 골품제 사회 비판, 새로운 정치 이념 추구, 지방 호족 세력과 연계


(3) 농민 봉기


진성 여왕 때 정부의 기강 문란 -> 조세 납부 거부로 국가 재정 바닥 -> 강압적 조세 징수 -> 상주의 원종과 애노의 난을 시작으로 농민 항쟁 확산 -> 지방 통제력 상실


(4) 새로운 사상의 등장


선종의 유행(개인의 깨달음 강조) + 풍수지리설 보급(도선, 경주 중심에서 벗어나 지방의 중요성 강조) + 유교(6두품의 정치이념)


2. 후삼국의 성립


(1) 후백제의 건국과 발전 그리고 한계


견훤, 상주 출신의 군인으로 완산주(지금의 전주)에 후백제 건국하였다.

우세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군사적 우위 확보, 중국과 외교 관계 수립하였다.

하지만 반신라 정책, 농민에게 과중한 조세 수취, 호족 세력 포섭 실패등으로 인한 한계점이 있다.


(2) 후고구려의 건국과 발전 그리고 한계


궁예, 신라 왕족 출신으로 송악(지금의 개성)에 후고구려 건국하였다.

국호를 마진(후에 태봉으로 변경)으로 바꾸고 철원으로 도읍을 옮겨 새로운 정치를 추구하였다.

하지만 지나친 수취, 미륵 신앙을 이요한 전제 정치 도모 -> 신하들에 의해 축출당함




















반응형
Comments